이봉창의사 연보
- 1901. 08. 10
京城府 龍山區 元町 二丁目 (경성부 용산구 원정 이정목,지금의 서울 용산구 원효로 2가) 번지 불상 3통 3반에서 아버지 李鎭球
(이진구), 어머지 孫(손)씨 사이에 세 아들 가운데 둘째로 태어나다.
본적은 京城府 龍山區 錦町(경성부 용산구 금정)118번지, 지금의 서울 龍山區 孝昌洞 ( 용산구 효창동)
- 1908
錦町(금정, 지금의 효창동)에 있는 서당에서 3년간 한문 공부하다.
- 1911. 04
龍山區 靑葉町 (용산구 청엽정, 지금의 청파동)의 4년제 소학교 文昌學校(문창학교, 天道敎(천도교)에서 설립에 입학하다.
- 1915. 03
위 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빈한한 가정형편상 龍山區 元町 二丁目(용산구 원정 이정목)의 일본인 과자점 和田衛生堂(화전위생당)에 점원으로
취직하다.
- 1917
龍山區 漢江通(용산구 한강통, 지금의 한강로) 16번지의 村田(촌전)약국 점원으로 전직하다.
- 1919. 08
龍山驛(용산역)의 試傭夫(시용부)로 전직하다.
- 1920. 01. 16
驛夫(역부)로 승진하다.
- 1920. 02. 04
轉轍手(전철수)로 승진하다.
- 1920. 10. 01
連結手(연결수)로 승진하다.
1년 후부터 승급과 급여 및 상여금에서 한국인이 일본인에게 크게 뒤떨어지는 차별대우를 받기 시작, 식민지 민족의 비애를 맛보다.
- 1924. 04. 14
신병을 이유로 龍山驛(용산역) 사직하다.
- 1924. 09
錦町靑年會(금정청년회)를 조직, 幹事(간사)를 맡아 하수도 청소, 夜警(야경), 關帝廟(관제묘) 보존 등 공공 봉사활동을 펴다.
- 1925. 09
임시 국세조사원으로 근무하다.
- 1925. 11
조카딸 銀任(은임)과 함께 일본 오사카로 가다. 취직자리를 찾아 다니면서 韓國人(한국인)이라는 이유로 여러번 차별대우를 경험하며
反日感情(반일감정)을 품기 시작하다.
- 1926. 02
오사카 가스회사에 취직. 이때부터 木下昌藏 (목하창장, 기노시타 마사조)이라는 日本(일본)이름을 쓰다.
- 1926. 09
영양실조로 각기병에 걸려 兵庫懸 城崎郡 三江村 下宮(병고현 성기군 삼강촌 하궁)에 사는 친구 小西升次郎(소서승차낭)집에서 5개월
요양하다.
- 1927. 05
오사카 가스회사에 복직하다
- 1927. 12
위 회사 경리담당 직원이 일거리를 잘 주지않아 사직하다.
- 1928
住友伸銅所 尼ケ崎 (주우신동소 니마기)출장소에 常傭人夫(상용인부)로 취직하다. 직공모집에 응모하려 했으나 組長(조장)의 추천 거부로
무산, 다시 한번 차별을 실감.
- 1928. 11. 07
天皇卽位式 (천황즉위식) 참관하려고 京都(경도)에 갔다가 한글로 쓴 편지를 갖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경찰에 검속되어 9일간
구류되다.反日感情(반일감정) 더욱 고조하다.
- 1928. 12
검속을 이유로 주변의 차가운 시선에 못 견디어 住友伸銅所(주우신동소) 사직하다.
- 1929. 02
오사카 山野 (산야)비누상회에 일본인으로 변신하여 취직, 이때부터 2년간 일본인 행세하다.
- 1929. 09
위 상회 무단 사직하다.
- 1929. 10
東京(동경)으로 가 여러 곳 전전하다.
- 1930. 03
東京(동경) 坂口(판구) 해산물 도매상점에 취직하다.
- 1930. 07
위 상점 사직하다.
- 1930. 08
東京(동경) 大木(대목) 가방상점에 외판원으로 취직하다.
- 1930. 11
위 상점 무단 사직하고 오사카로 가다. 이곳에서 친구 朴泰山(박태산)을 만나 그에게서 “上海(상해) 영국 전차회사가 한국인을 우대하며
임시정부가 한국인을 도와준다”는 말을 듣고 上海 (상해)에 가기로 결심하다.
- 1930. 08
東京(동경) 大木(대목) 가방상점에 외판원으로 취직하다.
- 1930. 12. 06
오사카 築港(축항)에서 上海(상해) 笠置丸(입치환)에 승선하다.
- 1930. 12. 10
上海(상해) 상륙하다.